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면 사전 점검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그다음으로 가장 좋습니다.
미래로 시간 여행을 하여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? 그 대신 사전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여러분에게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 사전 점검 중에는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프로젝트에 대한 위험 및 기회를 시각화하고 계획을 세운 다음 해당 계획을 기준으로 방향을 조정합니다. 사전 점검 템플릿을 사용하면 미팅, 문서 메모 및 의사 결정을 체계화하고 생산적이고 사전 대응적인 브레인스토밍 세션에서 팀을 이끌 수 있습니다.
사전 점검에는 60~90분을 사용하도록 계획합니다. 이것은 넉넉한 시간이 아닙니다. 모두가 준비된 상태로 생산적인 토론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숙제를 내어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세요. 템플릿의 사전 작업 섹션에는 생각하게 만드는 질문이 일부 포함되어 있어 팀원에게 미팅 전에 생각해 보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. 그런 다음 미팅을 진행할 때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자세히 이야기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열린 마음으로 미팅을 시작합니다.
대부분의 템플릿 내용에는 사전 점검 미팅을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안건이 대략적으로 나와 있습니다(브레인스토밍 세션부터 계획 단계에 이르기까지). 계획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 및 사전 점검 세션의 중요성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시작하세요. 또한 템플릿의 프로젝트 개요 섹션에는 상황을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팀의 프로젝트 포스터로 바로 연결되는 링크를 추가할 공간도 있습니다. 이렇게 준비하면 모두가 처음부터 내용을 잘 파악한 상태에서 논의를 시작하게 되므로 더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합니다.
사전 점검 미팅의 상당 부분은 잠재적인 위험 및 기회를 브레인스토밍하는 데 사용됩니다. 팀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'긍정적인' 관점을 가지고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고 다른 한 그룹은 '부정적인' 관점을 가지고 프로젝트가 실패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합니다. 각 그룹에서는 템플릿의 브레인스토밍 섹션 아래에 있는 테이블에 함께 일하는 팀원을 나열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관점에 따라 잠재적인 성공 가능성 또는 위험을 기록하고 유사한 아이디어를 주제별로 그룹화합니다.
약 20분 동안 진행되는 브레인스토밍 세션에서 각 그룹은 많은 아이디어를 쏟아낼 것입니다. 이제 모든 팀을 다시 한데 모아 서로의 아이디어를 교차 검토할 차례입니다. 각 팀에서 대표를 한 명씩 뽑아 생각해 낸 항목 및 주제를 요약하도록 합니다. 이 내용은 개방적인 토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분명히 설명하세요. 팀원은 내용을 명확하게 만드는 질문을 하고 특정 아이디어 또는 가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. 모든 아이디어를 다 발표했으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실패 및 성공에 팀원이 5분 동안 각각 3개씩 투표하도록 합니다. 팀원은 템플릿의 녹색 확인 표시를 복사하여 브레인스톰 테이블에서 선택한 주제 옆에 붙여넣어 쉽게 투표할 수 있습니다.
모두가 투표를 마치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위험 및 기회를 확인합니다. 하지만 사전 점검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. 성공을 보장하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시겠습니까? 템플릿의 계획하기 섹션을 사용하여 실행 항목을 설정하고 팀원을 @멘션하여 할당하고 기한 날짜를 설정하세요. 논의를 통해 다음 조치를 결정하면 사전 점검 내용이 가정에서 실행 가능한 조치로 바뀝니다.